슈크림

생활리뷰, 디지털, 앱 소개 등 온갖 정보를 알차게 전달하는 블로그입니다.

  • 2025. 3. 25.

    by. 일요일은 예술가

    목차

      봄이 오면 기분은 좋지만, 미세먼지와 황사 걱정도 함께 따라옵니다. 창문을 열자니 먼지가 걱정되고, 닫자니 답답하죠. 그래서 많은 분들이 공기청정기를 찾게 되는데요.

      막상 구매하려고 보면 생각보다 고민할 게 많습니다. 특히 “창문형(내장형) 공기청정기가 좋을까, 아니면 외장형(스탠드형)이 나을까?” 하는 고민이 제일 많아요.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오늘은 이 두 가지 타입을 실제 소비자 입장에서 비교해보고, 공간, 예산, 사용 목적에 따라 어떤 제품이 맞는지 정리해드릴게요.

       

       

      공기청정기 고르는 법: 내장형 vs 외장형 비교 [1편]

      1. 공기청정기 종류 정리

      🪟 내장형(창문형)

      • 창문에 설치해서 실내 공기 + 외부 공기 순환 가능
      • ‘환기 + 정화’를 동시에 하고 싶은 분들께 적합
      • 설치형이지만 최근에는 이동 가능한 모델도 있음

      🌀 외장형(스탠드형/탁상형)

      •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형태
      • 집 안에 놓고 사용하는 이동식 제품
      • 크기와 필터 성능이 다양한 만큼 선택 폭도 넓음

      2. 소비자들이 많이 고민하는 포인트

      ✅ 1) 소음

      • 내장형: 바깥 공기를 끌어오며 환풍기 소리 발생 가능
      • 외장형: 팬 회전음, 소형일수록 조용한 편
      소음 예시:
      • 20~30dB: 도서관 수준 → 밤에도 사용 가능
      • 40~50dB: 일반 대화 수준 → 취침 시 불편할 수 있음

      ✅ 2) 공기 순환 방식

      • 내장형: 실외공기 교환으로 환기 효과 큼
      • 외장형: 필터로 실내 공기만 정화, 환기 기능 없음
      🔄 미세먼지 많은 날, 창문 없는 방 → 내장형 추천

      ✅ 3) 필터 교체 주기 & 유지비

      • 외장형: HEPA 필터, 6~12개월마다 교체, 가격 1~5만 원대
      • 내장형: 일체형/탈착형 필터, 일부 자동 세척 기능 포함
      📌 필터 유지비는 장기적으로 중요한 고려사항!

       

      ✅ 4) 설치 & 이동성

      • 내장형: 창문 크기에 맞춰 설치, 이사 시 재설치 필요
      • 외장형: 자유로운 이동, 방마다 돌려 사용 가능

      ✅ 5) 전기요금

      • 소형 외장형: 월 약 1,000~2,000원
      • 중대형 외장형: 월 약 3,000~6,000원
      • 내장형: 월 약 4,000원 이상 (기능에 따라 상이)
      💡 에너지 효율 등급 확인은 필수!

      3. 공간별 추천 가이드

      공간 추천 유형 이유
      원룸 외장형 소형 가성비 + 이동성 + 소음 적음
      주방 겸 거실 중형 외장형 / 창문형 환기 + 정화 동시 가능
      창문 없는 방 창문형 or 제습기 연동형 공기 순환을 위한 구조 필요
      어린이방 / 침실 저소음 외장형 저소음 + 필터 성능 우수

       

       

      4. 결론: 어떤 공기청정기를 선택할까?

      • “공간 이동이 많다” → 외장형 추천
      • “환기가 어렵다” → 내장형(창문형) 추천
      • “유지비가 걱정된다” → 필터 교체 주기 & 전력소모 꼭 확인

      ✳ 공기청정기는 단독으로 완벽하지 않아요!
      다음 편에서는 공기정화식물 + 루틴 관리를 통한 공기질 개선법도 소개해드릴게요.